취업진로 상담센터


  • 취업뉴스 더보기
    • 우리나라 취업자 중 대졸(대학교 졸업) 이상 학력자 비율이 사상 처음 절반을 넘어섰다. 24일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국내 취업자 2841만6000명 중 대졸 이상 학력자는 1436만1000명으로 50.5%로 집계됐다. 대졸 이상 학력자에는 초대졸(전문대 등 초급대학 졸업), 대졸, 대학원 졸업이 모두 포함된다. 대졸 이상 취업자 비율이 50%를 넘은 것은 작년이 처음이다. 대졸 이상 비율은 2003년 30.2%에서 꾸준히 높아졌다. 2011년(40%) 40% 선을 돌파했고, 다시 12년 만에 50%를 넘었다. 작년 취업자를 학력별로 더 세분해서 보면 ‘고교 졸업’이 37.1%로 가장 많았다. 이어 대졸(31.8%), 초대졸(13.9%), 중학교 졸업(6.5%), 초등학교 졸업 이하(5.9%), 대학원 졸업(4.8%) 순이었다. 학력이 대졸 이상인 취업자 비율은 기업 규모에 따라 격차가 컸다. 대기업은 취업자(308만7000명) 5명 중 4명(79.5%)이 대졸 이상 학력자였다. 하지만 종사자 300인 미만 중소기업(취업자 2532만9000명)은 이 비율이 47%에 그쳤다. 석·박사 인력인 대학원 졸업 취업자 비율은 대기업이 12.5%로 중소기업(3.9%)의 3.2배였다. 출처 : 조선일보(2024.04.24)

      2024. 4. 29

    • 앵커 지난해 중소기업 취업자 가운데 청년층은 3분의 1도 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임금 등 근로조건에서 대기업과의 격차가 커지면서 청년층의 중소기업 기피 현상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리포트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300명 미만 중소기업 취업자 중 39세 이하 청년층은 781만 7천 명으로 전체 30.9%에 그쳤습니다. 이 중 29세 이하는 13.5%였고, 30대도 17.4%에 불과했습니다. 반면 60세 이상이 24%로 가장 많았고, 50대 23.8%, 40대 21.3% 순이었습니다. 연령층이 높을수록 중소기업 취업 비중이 높은 셈입니다. 반면 종사자 300인 이상 대기업에 취업한 39세 이하 청년층은 143만 9천 명으로, 전체 46.6%를 차지했습니다. 청년층 취업 비율에서 대기업이 중소기업의 1.5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청년층의 중소기업 기피 현상이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대기업 근로자의 월 평균소득은 591만 원으로, 중소기업의 2.1배였습니다. 연령대별 임금 격차는 20대에서 1.6배, 30대는 1.9배, 40대 2.2배, 50대 2.4배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커졌습니다. 육아휴직 등 근로조건에서도 차이가 컸습니다. 고용노동부 보고서에 따르면 300인 이상 사업체 인사담당자의 95.1%가 "누구나 육아휴직을 쓸 수 있다"고 답한 반면 9인 이하 업체에서는 같은 응답률이 47.8%에 그쳤습니다. 출처 : MBC뉴스(2024.04.22)

      2024. 4. 22

    • 지난달 취업자 수가 전년 같은 달보다 17만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지난해 3월 취업자 수가 크게 늘어난 데 따른 기저효과와 이상기온 등의 영향으로 3년여 만에 최소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특히 청년층 취업자가 13만명 이상 줄어들며 고용률이 6개월 만에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839만6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7만3000명 늘었다. 이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당시인 2021년 2월 47만3000명 줄어든 이후 3년 1개월 만에 최저 수준이다. 취업자 증가폭은 2022년 1월 113만5000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둔화해 지난 2월까지 20만~30만명대를 기록해왔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3월 취업자 증가세 둔화는 작년 3월 취업자가 많이 늘어난 데에 따른 기저효과 영향이 있다”면서 “기온저하 여파로 농림어업 쪽에서도 취업자 감소 폭이 컸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도 “2023년 3월 증가세가 크게 확대(46만9000명)됐던 기저효과 영향으로 최근 가팔랐던 증가세가 다소 조정받는 모습”이라고 밝혔다. 연령별로 보면 청년층(15~29세) 취업자가 13만1000명 감소해 가장 많이 줄었다. 지난해 7월(-13만8000명) 이후 가장 큰 감소폭이다. 인구 감소(-23만1000명) 효과를 감안한 청년층 고용률도 1년 전보다 0.3%포인트 하락한 45.9%를 기록하면서 6개월 만에 하락세를 기록했다. 청년층 고용률은 지난해 9월 전년 대비 0.1%포인트 감소했다가 10월 보합(0%포인트)을 기록한 뒤, 올해 2월(0.5%포인트)까지 상승 흐름이 유지된 바 있다. 서운주 국장은 “최근 경력 채용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취업 연령이 20대에서 30대로 넘어가는 추세”라며 “전체적인 고용률 수준은 매우 높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청년층 고용률 하락은 20대 초반이 주도했다. 20~24세 고용률은 44.4%로 전년보다 0.8%포인트 감소한 반면 20대 후반 고용률은 72.8%로 전년 대비 0.9%포인트 증가했다. 40대 취업자 수는 도소매 및 건설업 등 부진 영향으로 7만9000명 감소했다. 다만 인구증감을 고려한 취업률은 0.4%포인트 늘었다. 60세 이상 취업자는 23만3000명 늘었고 30대와 50대도 각각 9만1000명, 5만9000명 증가했다. 산업별로는 농림어업 취업자가 5만명 줄며 2017년 3월(-5만6000명)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도소매업은 1만4000명 줄며 작년 9월(-1만7000명) 이후 6개월 만에 다시 감소세를 기록했다. 제조업 취업자는 4만9000명 늘며 지난해 12월 이후 4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갔다. 제조업 취업자 증가폭은 올해 1월 2만명, 2월 3만8000명을 기록하며 확대되고 있다. 숙박·음식점업 취업자도 7000명 늘며 3개월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종사상 지위별로는 상용직이 28만6000명 늘었다. 2021년 3월(20만8000명) 이후 가장 작은 증가 폭이다. 임시직은 9만7000명 늘었고 일용직은 16만8000명 줄었다. 정부는 작년 크게 증가했던 기저효과가 3월 취업자 수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면서 내수 회복·건설수주 부진 등이 향후 고용시장을 좌우할 변수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기재부는 이날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을 통해 “최근 우리 경제는 물가 둔화 흐름이 다소 주춤한 가운데, 제조업 생산·수출 중심 경기 회복흐름과 높은 수준의 고용률이 이어지고 있다”면서도 “재화소비 둔화·건설 선행지표 부진 등 경제 부문별로 회복 속도에 차이가 있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출처 : 세계일보(2024.04.12)

      2024. 4. 15